infra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22. 1. 2. 02:57
Rai Drive + WebDav 연결 Tech/Miscellaneous
반응형

1. WebDav

WebDav는 "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의 약자로 "웹 기반 분산형 저작 및 버전관리"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Web-based"에서 알 수 있듯 웹을 통해 서버를 관리하는 확장형 HTTP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2. NAS 설정

 

Synology NAS에서 WebDav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패키지 설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패키지 센터] -> [모든 패키지] 에서 "WebDAV Server"를 검색하시면 결과가 나옵니다.

 

검색이 어렵다면 아래 아이콘 + 명칭과 동일한 패키지를 설치하세요

 

WebDAV Server Package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 포트 설정"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포트 설정은 크게 HTTP와 HTTPS로 나눠집니다.

 

사용자 접근 환경에 맞게 진행하면 되지만,
NAS에서 제공하는 HTTPS 환경을 사용하거나 사설 인증서+도메인 조합을 사용하고 있다면
"HTTPS 활성화" 에만 체크하면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의 NAS 접근시 주소창 최 앞단이 http인지 https인지를 확인하면 어떤 포트를 활성화 해야 할지 구분이 가능하다."

 

  • 포트를 변경할 필요는 없을까요?
    • 사용자 편의에 맞게 외우기 쉬운 포트 혹은 기존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포트와 겹치지 않으면 됩니다.
    • 단, 보안을 위해서는 기본으로 제공 하는 포트는 비인가자의 접근에 취약하므로 변경하는것을 권고합니다.

3. Rai Drive 설정

 

Rai Drive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것 까지는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정도로 간단합니다.

설치를 완료하면 상단 Add를 눌러 새로운 드라이브 추가를 진행합니다.

본 게시물은 Synology NAS의 WebDAV 서버에 접속하는 내용이므로 [NAS] -> [WebDAV]를 선택합니다.

 

사용자가 선택 및 입력해야 할 부분은 크게 4부분 입니다.

각각의 설명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Device
    •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의 Device 제조사 정보를 의미합니다.
    • Synology NAS에 연결할 경우 "Synology"를 선택해도 되지만 선택하지 않아도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선택시 "synology.me DDNS주소"와 "기본 포트번호" 자동입력 외 달라지는 점이 없기 때문입니다.)
  • Address
    •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의 주소와 포트를 입력합니다.
    • 주소는 자신이 사용하는 NAS의 주소(혹은 IP)이며 포트는 위 2. NAS 설정에서 생성한 포트를 입력합니다.
  • Path
    • Path는 WebDAV 연결시 사용자에게 보여줄 기본 경로를 의미합니다.
    • /로 입력할 경우 전체 디렉토리를 기본 경로로 사용하고
      /home을 입력하면 로그인 계정의 계정 기본 디렉토리가 연결됩니다.
  • Account
    • NAS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계정/비밀번호 입니다.

 


4. 연결 완료

위의 과정을 모두 거치게 되면 "네트워크 위치"라는 항목에 드라이브 연결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개인 폴더에 대한 내용으로 모자이크 처리 양해 바랍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드라이브 처럼 사용이 가능해 매번 웹을 통해 NAS에 접근하거나 파일을 업/다운로드 할 필요없이 손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profile

infra

@infra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