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ebDav
WebDav는 "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의 약자로 "웹 기반 분산형 저작 및 버전관리"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Web-based"에서 알 수 있듯 웹을 통해 서버를 관리하는 확장형 HTTP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2. NAS 설정
Synology NAS에서 WebDav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패키지 설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패키지 센터] -> [모든 패키지] 에서 "WebDAV Server"를 검색하시면 결과가 나옵니다.
검색이 어렵다면 아래 아이콘 + 명칭과 동일한 패키지를 설치하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 포트 설정"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포트 설정은 크게 HTTP와 HTTPS로 나눠집니다.
사용자 접근 환경에 맞게 진행하면 되지만,
NAS에서 제공하는 HTTPS 환경을 사용하거나 사설 인증서+도메인 조합을 사용하고 있다면
"HTTPS 활성화" 에만 체크하면 기능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신의 NAS 접근시 주소창 최 앞단이 http인지 https인지를 확인하면 어떤 포트를 활성화 해야 할지 구분이 가능하다."
- 포트를 변경할 필요는 없을까요?
- 사용자 편의에 맞게 외우기 쉬운 포트 혹은 기존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포트와 겹치지 않으면 됩니다.
- 단, 보안을 위해서는 기본으로 제공 하는 포트는 비인가자의 접근에 취약하므로 변경하는것을 권고합니다.
3. Rai Drive 설정
Rai Drive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는것 까지는 특별한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정도로 간단합니다.
- Rai Drive 공식 홈페이지 주소: https://www.raidrive.com/ko/
설치를 완료하면 상단 Add를 눌러 새로운 드라이브 추가를 진행합니다.
본 게시물은 Synology NAS의 WebDAV 서버에 접속하는 내용이므로 [NAS] -> [WebDAV]를 선택합니다.
사용자가 선택 및 입력해야 할 부분은 크게 4부분 입니다.
각각의 설명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Device
-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의 Device 제조사 정보를 의미합니다.
- Synology NAS에 연결할 경우 "Synology"를 선택해도 되지만 선택하지 않아도 크게 의미는 없습니다.
(선택시 "synology.me DDNS주소"와 "기본 포트번호" 자동입력 외 달라지는 점이 없기 때문입니다.)
- Address
-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의 주소와 포트를 입력합니다.
- 주소는 자신이 사용하는 NAS의 주소(혹은 IP)이며 포트는 위 2. NAS 설정에서 생성한 포트를 입력합니다.
- Path
- Path는 WebDAV 연결시 사용자에게 보여줄 기본 경로를 의미합니다.
- /로 입력할 경우 전체 디렉토리를 기본 경로로 사용하고
/home을 입력하면 로그인 계정의 계정 기본 디렉토리가 연결됩니다.
- Account
- NAS에 로그인할 때 사용하는 계정/비밀번호 입니다.
4. 연결 완료
위의 과정을 모두 거치게 되면 "네트워크 위치"라는 항목에 드라이브 연결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개인 폴더에 대한 내용으로 모자이크 처리 양해 바랍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드라이브 처럼 사용이 가능해 매번 웹을 통해 NAS에 접근하거나 파일을 업/다운로드 할 필요없이 손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ech > Miscellaneo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공통 사용자 또는 롤 이름이 부적합합니다." 해결하기 (0) | 2023.02.12 |
---|---|
Oracle Database 21c Express Edition 설치 실패 해결 (0) | 2023.02.05 |
WSL 설치시 오류 해결 (0x8007019e) (0) | 202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