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
반응형
article thumbnail
Oracle "공통 사용자 또는 롤 이름이 부적합합니다." 해결하기
Tech/Miscellaneous 2023. 2. 12. 16:13

증상 Oracle Database의 12c 이상 특정버전을 설치한 후 create user 구문을 이용하여 계정 생성시 다음과 같이 "공통 사용자 또는 롤 이름이 부적합합니다" 라는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결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와 검색을 진행하던 중 찾게된 원인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Oracle 12c 릴리즈 버전 이상에서는 Multitenent 옵션이 도입되었고 현재까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역사상으로도 큰 아키텍쳐 변경이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Multitenent 옵션과 함께 Container Databases라는 이야기도 등장하며 CDB, PDB라는 이야기도 함께 나오는데요 이때 이 CDB(Container Database), PDB(Pluggable Data..

article thumbnail
Oracle Database 21c Express Edition 설치 실패 해결
Tech/Miscellaneous 2023. 2. 5. 22:15

증상 Oracle Database 21c Express Edition을 설치과정에서 작업을 롤백하는 중 메시지 지속 발생 이후 설치가 완료되었지만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설치가 완료되었다고 해도 정상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가 동작하지 않음 여러 원인을 검색해보고 시도해보았으나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았음을 확인 증상 발생 사유 먼저 본 글을 작성하는 시기는 2023년 2월 초 기준 Oracle Database 21c Express Edition은 확인 결과 Windows 10 버전보다 상위 버전에서는 제공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환경문제로 인해 정상설치가 진행되지 않음을 확인 Installation Guide docs.oracle.com 해결 방법 윈도우 11 환경에..

article thumbnail
AWS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 짧게 정리 해보기
Tech/Cloud 2022. 1. 30. 20:56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 개요 Auto Scaling은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 하면서 서비스하기 위한 대상 용량(인스턴스 등)을 자동으로 리소스를 조정하는 기능을 말한다. 사용자의 유입 상황에 따라서 리소스를 증가하거나 혹은 축소 할 일이 생기는데 서비스 사용자의 증가나 특정한 이벤트(연말, 명절, 이벤트 시기 등) 가 진행되는 유동적인 상황에서 이 행위를 수동으로 일일이 예측하고 조정하긴 어려운 일이다. 이에, 사용자의 조건에 따라서 리소스를 조정하게 도와주는 기능이 있는데 이를 AWS에서는 Auto Scaling 이라는 이해하기 쉬운 명칭으로 기능을 제공중이다. 순서 본 글에서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을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기로 한다. 만약 이 과정중에서 일부가..

article thumbnail
WSL 설치시 오류 해결 (0x8007019e)
Tech/Miscellaneous 2022. 1. 2. 03:05

1. 시작하며 Windows 10 환경에서 제공하는 WSL 설치 후 실행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다. "Press any key to continue..." 라고 나오지만 누르면 창이 종료될 뿐 더이상 진행이 불가능하다. 오류코드는 0x8007019e로 확인되며 윈도우 환경에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기능이 설치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이다. 오류 해결을 위한 두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1. Powershell을 사용한 해결 [시작] -> [Powershell 검색]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으로 실행한다. Powershell을 관리자로 실행해야한다. 정상적으로 Powershell이 실행되면 아래 코드를 입력 후 명령 실행한다. 기능 설치가 완료될 경우 다시 wsl을 실행한..

AWS CLI 환경 구성 (aws configure 오류 해결)
Tech/Cloud 2022. 1. 2. 03:01

1. AWS CLI란? AWS CLI는 "AWS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로 명령어를 이용하여 AWS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Docker, Linux, MacOS, Windows의 환경을 모두 지원하고 간단한 명령어 또는 파일 다운로드 및 설치로 간편하게 진행이 가능합니다. AWS CLI는 버전 1과 2로 나뉩니다. 이중 버전 2는 AWS CLI의 최신 메이저 버전으로 제공되는 모든 최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버전 1에 적용되지 않는 기능이 있으므로 백 포트 되지는 않습니다. 2. "AWS CLI" Install for linux 이 문서에서는 "AWS CLI 2" 버전을 리눅스에 설치하는 방법과 설정을 위한 설명을 ..

article thumbnail
Rai Drive + WebDav 연결
Tech/Miscellaneous 2022. 1. 2. 02:57

1. WebDav WebDav는 "Web-based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의 약자로 "웹 기반 분산형 저작 및 버전관리"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Web-based"에서 알 수 있듯 웹을 통해 서버를 관리하는 확장형 HTTP 프로토콜을 의미합니다. 2. NAS 설정 Synology NAS에서 WebDav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패키지 설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패키지 센터] -> [모든 패키지] 에서 "WebDAV Server"를 검색하시면 결과가 나옵니다. 검색이 어렵다면 아래 아이콘 + 명칭과 동일한 패키지를 설치하세요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 포트 설정"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포트 설정은 크게 HTTP와 HTTPS로 나눠집니다. 사용자 접근 환경에 ..

article thumbnail
AWS Lambda timed out after 3.00 seconds
Tech/Cloud 2022. 1. 2. 02:52

AWS Lambda를 이용해 서버리스 코드를 실행하다보면 가끔 timeout 문제를 겪는 경우가 있다. 사용작 제작한 스크립트의 실행시간이 제한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인데, AWS Lambda에서 초기 설정을 변경하지 않을 경우 기본으로 3초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런 경우 Lambda에서 제한시간을 실행 환경에 맞게 변경하여 실행이 가능하다. 한국리전에서 한글을 사용하면 "제한 시간"이라는 옵션에서 변경할 수 있는데 Lambda의 [구성] - [일반 구성]에서 변경할 수 있다. 우측 상단의 편집을 눌러 제한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Lambda에서 설정할 수 있는 제한시간 최대치는 15분이다.

반응형